[Info]Tags categorized posts and contents patterns..

[AJAX] Ajax Code E xamples.. [Book] About the book.. [CSS] CSS Code E xamples.. [DB] Sql Code E xamples.. [DEV] All development stor...

2016년 8월 22일 월요일

[DEV] GitHub 에 처음으로 소스를 올려보다..

얼마전부터 코딩 테스트를 하고 있다.. 그런데 하다보니 단순히 이클립스를 통해서 코딩만 해두고 사이트에서 정답유무만 확인 한 후에는 혹여라도 나중에 소스가 필요하거나 보려고 할 때 어떻게 하지라는 생각을 했다.. 막말로 이직이라도 하면 혹은 포맷이라도 하면..

물론 해당 코딩 테스트 사이트를 가서 확인 해볼 수도 있지만, 그 사이트가 사라진다면..?? 그래서 GitHub 를 사용해보기로 했다.. 가입을 해둔지는 좀 됬지만 이번 기회에 작은거라도 한 번 올려보면서 사용해보자는 생각이었는데.. 이거 어째 일이 점점 커지는건 아닌가 모르겠다..

들어가서 이런저런 기능들을 봤는데 다는 모르겠지만 우선 자신만의 저장소[repository] 를 만들어야 했다.. 그래서 나는 redpigstudy 라는 이름으로 만들었다..

그 후에는..?? 이제 어떻게 소스를 올릴것인가.. 이게 제일 문제여서 검색을 또 해봤는데 다른 블로그 포스팅 보다 내가 아주 손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설명도 잘 해주신 분이 있었는데.. 그곳이 바로 이곳이다.. 해당 포스팅을 보고서 따라해보니 아주 손쉽게 GitHub 에 소스를 올릴 수 있었다..










지금은 단순하게 좀 올리고 있는데 혹시 아는가.. 나중에 좀 더 거창하게 올릴 수 있을런지.. ㅋㅋㅋ.. 당장은 급하게 올리느라고 step3 code test.. 이런식으로 올렸는데 문제를 commit message 에 올리도록 해야겠다.. 그래야 나중에 내가 보더라도 직관적으로 이해가 될듯하다..

무엇인가를 계속 새롭게 하는 것이 좋은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나 스스로 필요에 의해서 먼가를 해보는 것은 좋은거싱라고 생각을 하면서 그냥 해보려고 한다.. ㅎㅎ..

하아;; 근데 이제는 코딩 테스트 하나 하면, 블로그 포스팅하고, GitHub 에 올리고 먼가 일이 엄청 많아지고 있다.. ㅠㅜ 꾸준히 해야되는데.. 잘 될런지 모르겠고만.. 냥흠..;;;

[EP] "오픈소스 제대로 활동하기" 세미나 후기..

출처 : Outsider's Dev Story https://blog.outsider.ne.kr/

몇 주전 페이스북 "OSS 개발자포럼" 그룹의 주최로 이희승님오픈소스 제대로 활동하기를 주제로 발표하신다는 걸 알고는 냅다 신청해서 지난 토요일(25일)에 갔다가 왔다. 이희승님은 Mina, Infinispan, Netty 프로젝트를 만드신 분으로 현재는 트위터에서 일하고 계시고 국내에서 오픈소스쪽 활동으로는 가장 활발하다고 할 수 있다. 이희승님은 이름 정도만 알고 있다가 지난번 Deview에서 Netty 발표를 발표도 참 잘하신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이번에는 망설일 이유가 없었다. 오픈소스에 최근 관심도 더 커지기도 했고...

오픈소스 활용 vs. 활동
처음에는 가볍게 오픈소스의 활용과 활동에 대해서 얘기하셨다. 가장 간단한 것은 오픈소스를 단순히 이용하는 것이고 내부적으로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어서 수정해서 사용(internal fork)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점점 원 프로젝트와 달라지는 부분이 커지기 마련이라 관리가 쉽지 않다. 수정한 내용을 단순히 공개하기도 하는데(external fork)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좀 더 나은 방법이기는 하지만 원 프로젝트에 적용된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해당 프로젝트에서 직접 활동하는 것이 더 낫다.

블로그나 강연을 통해서 오픈소스에 대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다. 상용 소프트웨어의 경우 동작하는 부분은 그대로 놔두는 경향이 있지만 오픈소스에서는 디자인등을 적극적으로 변경해 나가므로 문서에 제때 반영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 사례를 많이 공유함으로써 사람들이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와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중요한 부분이고 그 외에 버그리포팅이나 기능추가 요청, 토론참여 등이 있다.

오픈소스 활동의 목적
그럼 오픈소스 활동을 왜 해야하는것인가? 활동하기 전에 목적을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서버를 만드는 것을 가정했을 때 (물론 재미난 과정이겠지만) 스펙 준수나 호환성 테스트를 다 하는 것은 무척 시간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 오픈소스를 사용하고 핵심 역량에 집중해서 개발할 수 있다. 그리고 오픈소스에 직접 참여하면 사용하는 오픈소스에 변경해야 할 부분이 생겼을 때 직접 참여해서 적극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기다리거나 내부적으로만 수정하게 되서 관리가 어려워진다.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오픈소스 로드맵에 직접 참여할 수 있고 설사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 토론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 많다.

그리고 활동 자체에도 큰 의미를 둘 수 있다. 보통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다양한 나라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를 하게 되므로 사람의 성품이나 치적에 대한 편견없이 코드에만 집중해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많은 사람이 온라인으로 협업하는 법을 배우게 되므로 얼굴보고 협업하는 것도 한결 쉬워진다. 사람에 대한 비난 보다는 코드가 중요하다는 것을 많이 배울 수 있다. 최근에 많아지고 있는데 오픈소스 활동을 채용절차의 일부로 활용하기도 한다. 물론 이는 좋은 코드를 작성했을 때의 이야기이지만 오픈소스 활동 자체가 좋은 코드로 발전하는 하나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오픈소스 제대로 활동하기
주의할 점
자주 있는 경우는 아니지만 초기에 소위 찍히면 그 뒤에는 여러가지로 열심히 해도 잘 안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처음부터 잘 해야 한다. 버그리포팅을 하는 입장에서는 하나의 이슈이지만 커미터들 입장에서는 수십, 수백개의 이슈가 올라오므로 단순 리포팅 자체는 큰 의미가 없다. 이해하기 어려운 영어나 불충분한 설명으로 버그리포팅을 하게 되면 우선순위가 낮아져서 처리되지 않으므로 최대한 자세하고 명확하게 리포팅해야 하고 서로의 시간을 소중하게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언제 해결되냐는 식"의 재촉은 찍히는 지름길이고 공식 채널이 아닌 비공식 채널(메일링, IRC, 이슈트래커가 아닌 개인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하면 무조건 공식채널로 연락하라고 하기 마련이다. IRC도 공식 채널이기는 하지만 기록으로 남고 누군가 다시 검색해 볼 수 있는 메일링이나 Stackoverflow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버그 리포트
버그리포팅은 jira나 github 이슈등의 공식 이슈 트랙커를 사용한다. 버그 리포트를 올리기 전에 유사한 이슈가 있는지 필히 확인해야 하고 이미 존재한다면 기존 이슈에 보충할 내용만 추가하고 vote나 watch 등으로 관심을 표현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리포팅을 할 때는 사용 버전, OS나 VM등의 환경, 재현방법등을 자세하면서 깔끔하게 적는 것이 좋고 좀더 나아간다면 왜 이런 문제가 발생했다고 생각하는지를 찾아서 같이 올리거나 의심가는 부분의 소스코드를 알려준다면 처리되는 우선순위를 높힐 수 있다.
기능 제안
기능제안도 버그리포팅과 유사하게 이슈트래커를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중복 등록이 되지 않도록 기존 이슈들을 검색해봐야 하고 기능을 요청하게 된 배경이나 어떤 효과가 있는지, 잠재적으로 예상되는 위험성, 구체적인 구현방법등을 함께 제안하면 좋다.

패치 보내기
이슈에 패치를 첨부하면 커미터들이 리뷰를 하게 된다. 코드가 너무 맘에 들어서 한번에 적용되는 경우는 흔치 않다. 보통은 관례를 맞춰달라거나 자세한 내용을 물어보거나 일부를 바꿔 달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물론 때로는 칭찬도 듣는다.) 이러한 리뷰에 따라 패치를 다시 첨부하면 되고 해당 프로젝트에 개발자 가이드가 존재한다면 미리 숙지해 두는 것이 빨리 적용되는데 도움이 된다. 이렇게 리뷰하는 과정에서 포기하면 참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놓치는 것이므로 끈기있게 해야 하고 커미터의 의견이라고 너무 끌려다니지만 말고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것이 좋다.

Pull Request
Github가 사실상 오픈소스 코드 저장소의 표준이 되었기 때문에 요즘은 패치를 보내는 일은 많지 않고 대부분 Github의 Pull Request를 이용한다. DVCS의 장점을 이용해서 각 저장소의 변경사항을 자동으로 보여주고 개발자가 리뷰하면 원 저장소에 적용되는 방식으로 모두에게 편리해 졌다.

일원이 되기
프로젝트의 일원이 되는 경우는 패치를 하는 과정에서 커미터가 얘기가 잘 통한다고 느끼거나 좋은 코드를 항상 작성해서 굳이 매번 리뷰를 하지 않아도 되겠다고 느껴서 믿을 만한 수준이 되면 일원이 될 수 있다.

새로운 오픈소스 프로젝트 시작하기
새로운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기업과 개인의 이익을 넘어설 수 있는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믿을만한 개발자"라고 말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지 먼저 봐야 하고 내가 하고 싶어서 또는 회사가 원해서가 아니라 실제로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인지를 고민해 볼 필요가 있고 이는 생색내기가 아닌 진짜 오픈소스를 하고 싶다면 고민해 볼만한 일이다. 그리고 이러한 가치가 있다면 장기간 유지해야하고 회사외부로 오픈할 때도 편협하게 외부사람이라고 권한은 안주는 등의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진정으로 열린 프로젝트인지도 고민해 봐야 한다.

사례 소개 : open source @ twitter
많이 알려졌다 시피 오픈소스에 적극적인 트위터를 사례로 소개해 주셨다. 트위터는 현재 내부에서 개발한 프로젝트를 오픈소스로 공개해서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대표적으로는 Bootstrap, finagle, ostrich, zipkin, twemproxy, mysql fork 등이 있다. 그리고 블로그를 통해서 기술을 공유하고 있고 내부에서 많이 사용하는 스칼라의 전파를 위해 Scala School이나 Effective Scala등의 문서도 공개하고 있다. 그 외에도 netty, apache hedwig, mesos, pig등의 오픈소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개발자를 직접 고용해서 오픈소스개발을 하게 하고 있으며 Apache Software Foundation, Linux Foundation, Travis-CI등에 재정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Epilogue
아주 긴 시간은 아니었지만 여러 오픈소스를 진행하면서 쌓인 실 경험에 바탕해서 얘기해 주셨기 때문에 알고 있던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그 무게가 달랐고 시스템 적인것 외에 실제적인 부분은 잘 몰랐기에 느끼는 부분도 많고 오픈소스에 대한 꿈을 더 크게 품을 수 있었다.(올해 어느정도 발이라도 걸쳐보려는게 목표이긴 한데 ㅠ) Github 덕분에 오픈소스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무한하게 열린 상황이지만 가끔 간단한 거라도 리포팅이나 패치를 보내다가 무시당하거나 하면 맘이 상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커미터의 입장에서의 이야기를 들어보면서 그런거에 일일이 맘상하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뭐 대단한거 보낸것도 아니고...) 질문시간에도 여러 질문이 오갔는데 굳이 여기에 정리하진 않겠다. (궁금한 사람은 Insane님이 정리한 오픈소스 제대로 활동하기 멘토링 후기 참고)

마지막으로 원래도 그런 생각을 좀 하고 있어서 인지는 몰라도 이번 세미나를 들으면서도 사람들이 뭔가 과정을 뛰어넘어서 결과만 바라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직접적으로 말하면 오픈소스를 개발하고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고 실력을 쌓는 과정을 생략하고 유명프로젝트의 커미터를 좀 더 쉽게 될 수 있는 방법이 없나? 하는 생각을 하고 있는 듯하게 느껴졌다.(편견일지도...) 내가 생각하기에 오픈소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실력이고 사실 실력만 있으면 그외에것은 다 무시할만한 수준이라고 생각한다. 이희승님이 나누어 주신 얘기도 실력은 제외하고 초기에 모를 수 있는 팁을 알려 주신 것이지 저런걸 다 지킨다고 커미터가 되는게 아니라 일단 해당 프로젝트를 직접 개발하고 멋진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이 되야 하는데 그런 과정은 쉽게 넘어가고 싶은게 아닐까 하는 느낌이 들었다.(물론 나도 그런 능력이 아직 안되는데 잘하시는 분들을 얘기한건 아니다.)

이희승님이 얘기하셨듯이 오픈소스에 참여하는 과정은 아주 다양하다. 내가 아직 코드를 막 짤 수준이 아니라면 버그 리포팅을 할 수도 있고 질문에 답변을 열심히 달아줄 수도 있고 가이드 같은걸 만들어서 제공할 수도 있다. 몰론 패치를 보낼 수 있다면 더욱 좋겠지만... netty에 올라오는 이슈나 패치에 한국사람이 거의 없다는 이희승님의 얘기에 약간의 안타까움을 느끼면서 어떻게 커미터가 되느냐 마느냐 보다는 그냥 자신이 할 수 있는 부분에서 오픈소스 활동을 다양하게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그런 가운데서 커미터들도 더 나오고 그러겠지. 내 생각에는 오픈소스는 그게 더 좋은 방법이고 즐거운 방법이기에 그렇게 개발하면서 명예가 따라오는 것이지 명예를 얻기 위해서 오픈소스를 하는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국내 회사들의 오픈소스들을 개발자들이 거의 신경도 안쓰는 이유도 질답중에 이희승님이 비슷한 얘기하셨듯이 오픈만 했다고 다 오픈소스가 아니기 때문이 아닐지...



[JAVA] Baekjoon 1부터 N까지 합을 구합니다..

대망의 for 마지막 문제다.. 어느덧 마지막 문제라니 다음 단계의 주제인 if 들어가기전에 랭킹이나 올려볼까 싶기도 하고 ㅎㅎㅎ.. 랭킹이라고 하기에도 웃기지만 말이지.. 등수가 천단위라서 ㅋㅋㅋ..

문제
n이 주어졌을 때, 1부터 n까지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출력
1부터 n까지 합을 출력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package Code_201608;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PrintForSum {

    @SuppressWarnings("resourc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int sumNum = 3;
        int sumVal = 0;
        
        int sumNum = scan.nextInt();
  
        for(int i = 1; i <= sumNum; i++) {
            sumVal += i;
        }
        System.out.println(sumVal);
    }

}//




이번 문제는 그동안 고민하면서 풀던 문제들에 비하면 상당히 쉽다.. 증감에 대한 개념만 갖고 있다면 금세 풀리니 말이다..


어차피 기본 for 는 누구나 한다고 쳤을 때 18 라인 증감[+=]에 대한 부분이 가장 핵심이다..

[JAVA] Baekjoon 2007년 x월 y일이 무슨 요일인지 알아내보기..

for 코딩 테스트도 이제 막바지에 이르고 있다.. 고민하는걸 싫어하는편이긴 하지만 그래도 어쩌겠는가.. 개발자로 살고자한다면.. 그에 합당한 노력을 해야지.. 머 그렇다고 엄청나게 하는것도 아니긴 하지만.. ㅎㅎㅎ..

문제
오늘은 2007년 1월 1일 월요일이다. 그렇다면 2007년 x월 y일은 무슨 요일일까? 이를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빈 칸을 사이에 두고 x(1≤x≤12)와 y(1≤y≤31)이 주어진다. 참고로 2007년에는 1, 3, 5, 7, 8, 10, 12월은 31일까지, 4, 6, 9, 11월은 30일까지, 2월은 28일까지 있다.

출력
첫째 줄에 x월 y일이 무슨 요일인지에 따라 SUN, MON, TUE, WED, THU, FRI, SAT중 하나를 출력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package Code_201608;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PrintFor2007 {

    @SuppressWarnings("resourc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String[] monthVal = {"SUN", "MON", "TUE", "WED", "THU", "FRI", "SAT"};
        
        //int monVal = 1;
        //int dayVal = 1;
        
        int monVal = scan.nextInt();
        int dayVal = scan.nextInt();
  
        //월은 눈에보이는 월이 아닌 그 이전까지 계산 후 + 일을 한다
        for(int i = 1; i < monVal; i++) {
            if(i == 4 || i == 6 || i == 9 || i == 11) {
                dayVal = dayVal + 30;
          
            } else if(2 == i) {
                dayVal = dayVal + 28;
          
            } else {
                dayVal = dayVal + 31;
            }
        }
        //System.out.println(dayVal % 7);
        System.out.println(monthVal[dayVal % 7]);
    }

}//




문제를 보면 거창해 보이지만, 실제 코딩된 소스는 그렇게 길지는 않다.. 코딩 테스트 문제가 너무 길어도 문제긴 하겠지만 말이지.. ㅎㅎㅎ..

해당 문제에서 가장 핵심은 달[Month]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잡느냐이다.. 19라인 주석에도 설명을 하긴 했지만 난 처음에 눈에 보이는 그대로 1월부터 3월 혹은 1월부터 6월 해서 3번, 6번을 for 가 돌아야된다고 생각을 했다..

그런데 그렇게하면 절대 답이 안나오지.. 우리가 5월 1일에 해당하는 요일을 구한다고 치면, 5번의 for 가 아닌 4번의 for 가 돌아야된다.. 왜냐면 1월부터 4월까지 총 4번 그리고서 그 이후에 1일을 더하는 개념이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흐 난 첨에 이걸 그렇게 생각을 못해서 계속 삽질을 하면서 왜 답이 안나오지..?? 이 생각만 했다.. ㅋㅋ

난 처음에 for(int i = 1; i < 6; i++) 이런식으로 되야 한다고 생각을 했다.. 5번이 for 가 수행하도록 하지만 그것이 아닌 for(int i = 1; i < 5; i++) 가 되고 4번 수행하도록 코딩을 해야된다.. 그래야지만 위에 잠시 언급한 개념과 맞는 코딩이 되는 것이다..

그 이후에는 머 좀 심플하다.. 각각의 월에 대한 날짜 기준이 있으니 그것대로 if 문을 구성해주면 되겠다.. 출력은 최종적으로 나온 값을 나눈 후에 그 값에 대한 것을 배열로 따져서 요일을 보여주면 된다.. 즉, monthVal[dayVal % 7]

[UFC] UFC 202 맥그리거 판정승.. 하지만 3차전은 글쎄..

어제 UFC 202 이벤트가 있었다.. 화려한 대진들이었고, 경기 또한 전체적으로 박진감 넘치게 진행됬다.. [임현규 선수가 TKO 패한 것에 대해서는 유감이다..] 하지만 우선 내 관심사가 가장 큰 경기는 단연 메인 이벤트였기에 그 경기를 포스팅 하려고 한다.. 그 외 경기결과는 이곳에서 확인을 하면 좋을 듯 하다..

코너 맥그리거 vs 네이트 디아즈 2차전..
결과는 맥그리거의 5R 판정승이다.. 점수는 2:0 이며, 한 명의 저지는 무승부를 줬다.. 그정도로 박빙이었단 얘기지.. ㅎㅎ..











이번 경기에서는 맥그리거가 승리를 하기 위해서 작정을 하고 나온듯 했다.. 1차전에서는 막무가내로 압박을 했다고 할까.. 필요이상으로 밀어붙이는 경향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달랐다.. 외각으로 돌면서 로우킥으로 디아즈의 약점중 하나인 하체를 공략했는데 그게 잘 먹혀들어갔다..

다만, 그 부분이 1R 에서는 상당히 유효했는데 그 이후 라운드가 문제였다고 본다.. 2R 에서도 로우킥을 섞어가며 경기를 하긴 했지만 1R 에서 보여준 스타일과는 약간 틀렸다.. 왜냐면 디아즈가 누구인가.. 맷집하면 그가 떠오르게 만드는 선수다.. 이번에도 역시나 좀비복싱으로 계속 밀고 들어가다보니 맥그리거의 전략이 100% 먹히진 않았다.. 아니, 1R 와 비교했을 때 전략이 잘 먹히지 않았다고 보는 것이 맞는듯하다..

3R 에서는 맥그리거가 조금 애처로울 정도로 많이 맞았다.. 하지만 맥그리거도 대단한 것이 그 상태에서도 집중력을 잃지 않았고, 왠간한 주먹은 머리 컨트롤을 통해서 흘려버렸다.. 그래서 많이 맞았다고 생각함에도 불구하고 얼굴에 상처가 크게 나지 않은 이유이기도 한 것이다.. 오히려 디아즈만 피투성이였을 뿐이다..

4R, 5R 에 들어서도 둘의 스타일은 비슷했다.. 디아즈는 좀비복싱으로 밀고 들어갔으며, 맥그리거는 분명 힘이 빠지고 체력이 고갈되긴 했지만, 애초에 장기전을 염두해둔 패턴대로 계속 주변을 돌면서 난타전보다는 경기를 이기는것에 초점을 맞춘 경기를 했다.. 특히나 디아즈는 막판 변화 및 점수를 따기 위해서 테이크 다운을 몇차례 시도했지만 맥그리거가 다 수비를 해버렸다.. 디아즈 입장에선 정말 아쉬운 대목일 수 밖에 없다.. 5R 막판에는 테이크다운을 하기는 했으나 이미 경기가 다 끝나기 직전인 시점이라 저지들이게 임팩트를 주기에는 무리가 있었다고 본다..

전반적인 경기는 누가 이겼느냐가 문제가 아닐정도로 재밌는 경기를 했다.. 보는 내내 긴장감을 놓을수 없었으니 말이다.. 그런데 3차전에 대한 부분은.. 개인적으로는 글쎄.. 라는 생각이다..

이번 경기에서 맥그리거가 엄청난 화력 및 맷집을 통해서 디아즈를 어느정도 가지고 놀았다면 3차전이 기대가 될 것이다.. 하지만 본인과 비슷한 리치의 디아즈 그리고 본인보다 더 큰 키와 경이로운 맷집.. 체급의 차이를 또 한 번 느끼게 해준 경기였다고 본다.. 아무리 맥그리거가 이겼을지라도 기본적인 체급차이는 어쩔 수 없는부분이라는 생각을 하게끔 한 경기이기도 하다..

흥행을 위해서야 UFC 측에서 맥그리거의 페더급 타이틀전 이후에 3차전을 준비할 수도 있지만, 안그랬으면 하는 생각이다.. 맥그리거가 3차전을 할정도로 디아즈에게서 피지컬적은 차이점을 잘 극복해냈다고 생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제는 몸을 다시 잘 추스려서 다른 생각보단 페더급부터 정리하길 바란다..